전기쟁이 공개자료

3.3kV 비접지 회로 지락 보호 시스템 이야기

이맨_전기쟁이 2022. 8. 11. 20:53
반응형

* 3.3kV 비접지 회로 지락 보호 시스템 이야기

 

아래 사진[1] 도면은 아나로그 계기 및 계전기가 적용된 사진 입니다.

메인 에는 PT를 설치 하였으며, 2차측 FEEDER에 GPT & ZCT 를 사용 하여

OVGR & SGR을 이용한 선택지락 보호 회로 시스템을 적용 하였습니다.

(실재 시공 했던 현장 제작도 에서 일부 삭제 수정 하였음.)

 

1. 3.3kV 고압 배전반 비접지 회로 시스템 

 

  사진[1]

  

 

2. 비접지 보호 회로에 대한 ZCT & GPT, OVGR, SGR에 대한 설명

  

아래 사진[2] 도면에서 3상 3선 비접지에서 한상이 완전 지락 되었을 경우에

도면과 같이 회로를 구성 했을때 #A 에 흐르는 ZCT(영상전류)전류는 GPT 중성점에

흐르는 전류와 케이블 정전용량에 흐르는 충전전류의 벡터 합성을 검출 합니다.

#A에 영상전류에 의해서 ZCT 2차 #A1 전류가 SGR에 흐르게 됩니다.

 

그리고 한상이 완전 지락 되었을때 GPT 3차에 (#B) 다른 건전한 두상의 최대 루트3배 전위 상승이

일어나고 상승된 두 전압의 백터합 190V 전압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영상 전압과 영상전류를 공급 받아 그 위상차에 의해 SGR이 동작 하게 됩니다.  

 

사진[2]에서 단자 (케이블No) 위치별  전압을 보면 

GP10 - GP20 : 63V

GP20 - GP30 : 63V

GP30 - GP40 : 63V 

GP10 - GP40 : 0V => V0 메타가 결선 되는 곳 

V0메타가 0에 있다가 한상이 완전 지락 되었을때 190V 가 되며 

PT비에 따라 전압 3300V를 지시 하게 됩니다.

그랬을 경우 완전 지락 된 상의 단자 전압은 0가 됩니다. 

 

사진[2]

 

 

일반적으로 고압 비접지 계통에서 MAIN에 OVGR(지락과전압계전기)을 설치하고,

FEEDER에 SGR(선택지락계전기)을 설치하여 선택 차단 하며, OVGR은 주로 경보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디지털계전기는 문제 없으나, 아나로그(유도원판형)형 SGR은 한시 조정을 하지

않고 OVGR과 접점을 시리즈로 구성하여 OVGR 시간지연을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 합니다.

 

사진[1]에서의 경우는 VTS회로가 있어서 인입이 2곳 이어서 상위 VCB에 GPT를 설치할경우

VTS가 비상으로 절체시 OVGR SOURCE 받을수 없으므로 MAIN에는 PT를 설치하고, FEEDER

1차에 GPT를 설치 하였습니다.

그리고 TIE 회로 혹은 INTERLOCK회로가 있는 경우는 위와 같이 MAIN에는 PT 그리고 FEEDER VCB

1차측에 GPT를 설치 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6.6kV 비접지의 경우 GPT전압과 CLR 저항값이 다르고 시스템은 거의 동일 합니다. 

 

작성 : 배사모 (전기쟁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