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저항접지(NGR)방식 지락 보호 시스템 이야기

 

아래 사진[1] 도면은 6.6kV 고압에 NGR이 적용된 사진 입니다. 

메인측에 변압기 보호용 87(비율차동계전기)가 적용 되었으며,

VCB 2차측 CT를 보시면 1000/5A, 100/5A 로 

OCR 보호용 1000/5A 적용 되며,

OCGR 보호용 3차 권선 100/5A 적용 되어 사진[2]와 같이 적용 되었습니다. 

(실재 시공 했던 (플렌트) 현장 제작도 에서 일부 삭제 수정 하였음.)

 

1. 6.6kV 고압 배전반 저항 접지 회로 시스템 

  사진[1]

 

  

 

2. 저항 접지 보호 회로에 대한 OCR, OCGR에 대한 설명

  

아래 사진[2] 도면에서 중성점에 NGR을 적용한 저항 접지 스시템 입니다. 

1000/5A 는 위에 언급한 반와 같이 과전류 계전기를 동작 하기 위함이고, 

거기에 3권선으로 100/5A 단자는 사진[2]와 같이 시리즈로 결선하여 

지락 전류를 검출 함. 

사진[1]에서 메인 VCB는 3권선 CT를 통한 OCGR 계전기로 보호를 하며,

FEEDER는 3CT의 잔류전류 방식으로 지락 보호가 됩니다. 

아래와 같이 저항접지 방식의 경우 300A이하에서는 잔류전류 방식으로 적용 하며,

300A 초과시에는 3권선 CT를 적용하여 계전기를 동작 하게 됩니다. 

 

* 참고 사항 

=> 3상4선 다중접지(직접접지) 방식에서는 부하 불평형으로 인한 오동작 방지를 위해

    통상적으로 최대 정격전류의 30% 정도로 정정 함. 

 

=> 저항접지 시스템 방식에서는 최대 지락전류의 30% 정도에 동작 하도록 정정함. 

 

잔류회로방식 : 아래 사진[2]의 경우 잔류회로 방식으로 적용 할경우 

최대 지락 전류의 30%에 계전기를 동작 할수 있게 하려면,

계전기 정정 TAB = 지락전류 x 0.3 x 5 / CT비  로 계산하면

                   = 100 X 0.3 X (5/1000)

                   = 0.15A  계전기 입력 전류로 계전기 동작을 해야 하므로 재 검토가 필요함.

 

3권선 CT방식 : 아래 사진[2]의 경우 3권선 CT방식으로 적용 할경우 

최대 지락 전류의 30%에 계전기를 동작 할수 있게 하려면,

계전기 정정 TAB = 지락전류 x 0.3 x 5/(3권선 CT비) x (1/3) 로 계산하면

                   = 100 X 0.3 X (5/100) x (1/3)

                   = 0.5A  계전기 입력 전류로 계전기 동작함.

사진[2]

 

 

 

첨부 도면 처럼 2차 중성점에 NGR을 설치 하는 방법이 있고, 

3상3선 비접지 개통에 별도로 GTR을 이용하여 중성점을 

인출하여 NGR을 설치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작성 : 배사모 (전기쟁이)

 

시방서.pdf
1.49MB

 

저항접지계통에서GPT용량의적정성.pdf
1.01MB

 

저항접지보호VCB회로.pdf
0.05MB

 

SL004.dwg
1.18MB

 

SL008.dwg
1.11MB

반응형

+ Recent posts